HOME > 미분류 > ETF 세금 정리

ETF 세금 정리

designpool | 12:59 오후 | 2024년 12월 20일

ETF(상장지수펀드) 투자 시 발생하는 세금은 투자 대상 지역(국내/해외)과 ETF 종류(주식형/비주식형)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에서 주요 과세 기준과 절세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국내 ETF 과세 기준

국내 ETF는 주식형(국내 주식 비중 50% 이상)과 비주식형(채권형, 리츠형 등)에 따라 과세 기준이 다릅니다.

  • (1) 매매 차익
    • 주식형 ETF: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습니다. 이는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개별 주식과 동일한 혜택입니다.
    • 비주식형 ETF: 매매 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되며, 15.4%(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2) 배당소득세
    • ETF가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배당(분배금)은 15.4%의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 주식형 ETF의 경우 배당보다는 자산 내 주식 매매 차익이 주된 수익원으로, 배당소득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3) 금융소득종합과세
    • 비주식형 ETF의 경우 매매 차익과 배당소득이 연간 2,000만 원을 초과하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2. 해외 ETF 과세 기준

해외 ETF는 국내 ETF보다 복잡한 세금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1) 매매 차익
    • 해외 ETF의 매매 차익은 양도소득으로 분류됩니다.
    • 기본공제 250만 원을 초과한 차익에 대해 22%(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2) 배당소득세
    • 해외 ETF에서 지급된 배당은 배당소득으로 간주되어 15.4%의 세율로 과세됩니다.
    • 일부 국가에서는 배당 지급 시 현지에서 원천징수세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 ETF의 경우 배당소득에 대해 10%의 원천징수세가 적용됩니다.
    • 원천징수된 세금은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중복 과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3) 신고 의무
    • 해외 ETF 투자 시, 연간 거래 계좌 잔액이 일정 기준(5억 원)을 초과하면 국세청에 금융계좌 신고를 해야 합니다. 신고를 누락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3. 절세 방법

ETF 투자자는 아래 절세 방법을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1) 연금계좌 활용
    • 연금저축계좌나 IRP(개인형 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해 ETF에 투자하면 세금을 연금 수령 시점까지 이연할 수 있습니다.
    •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3.3~5.5%)로 과세되며, 연금저축계좌의 경우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 (2) 장기 투자
    • 잦은 매매를 줄이고 장기 투자 전략을 취하면 거래 횟수를 줄여 세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특히 해외 ETF는 매도 시 양도소득세가 발생하므로 장기 보유로 세금 부담을 낮추는 것이 유리합니다.
  • (3) 외국납부세액공제
    • 해외 ETF에서 발생하는 배당소득에 대해 외국에서 원천징수된 세금은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 시 외국납부세액공제를 통해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4) 금융계좌 신고 준수
    • 해외 ETF를 보유하거나 거래할 경우 금융계좌 신고 의무를 철저히 준수해 불필요한 과태료를 피해야 합니다.

4. 국내 vs 해외 ETF 세금 비교 요약

구분국내 주식형 ETF국내 비주식형 ETF해외 ETF
매매 차익비과세배당소득세 15.4%양도소득세 22%
배당소득원천징수 없음배당소득세 15.4%배당소득세 15.4%
기본공제없음없음250만 원 (양도차익)

ETF 투자는 국내와 해외에 따라 세금 구조가 크게 다르므로 투자 전에 이를 충분히 이해하고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해외 ETF는 과세가 복잡하므로 절세 방법을 적극 활용하고 관련 신고 의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