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결제 화면에 원화(KRW)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해외 원화 결제(DCC, Dynamic Currency Conversion) 서비스로, 해외 가맹점에서 결제 금액을 자국 통화로 변환해 보여주는 기능이다. 하지만 이 서비스에는 숨겨진 비용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현지 통화로 결제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해외 원화 결제(DCC)란?

DCC는 해외에서 결제할 때 원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처음 보면 익숙한 원화로 금액이 표시되어 편리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상 불필요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구조다.

왜 DCC를 차단해야 할까?

1. 추가 수수료 부과
DCC를 통해 원화로 결제하면 약 3~8%의 추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DCC 서비스 제공업체가 부과하는 비용으로, 별다른 설명 없이 결제 금액에 포함될 수 있다.

2. 불리한 환율 적용
DCC 서비스 업체는 자체적으로 환율을 적용하는데, 이는 공식 환율보다 불리한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환율보다 비싸게 책정되어 결과적으로 더 많은 돈을 지출하게 된다.

3. 이중 환전 가능성
일부 카드사는 DCC를 통한 원화 결제를 해외 거래로 인식하여 **추가적인 해외 이용 수수료(약 1~2%)**를 부과할 수도 있다. 이는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불필요한 수수료를 막는 방법

1. 해외 원화 결제 차단 신청
대부분의 카드사는 해외 원화 결제를 차단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드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DCC 차단을 신청하면 해외에서 원화 결제가 자동으로 거부된다.

2. 결제 시 “현지 통화” 선택
해외에서 카드 결제 시 가맹점에서 원화(KRW)로 표시되면 반드시 **”현지 통화로 결제(Local Currency)”**를 선택해야 한다. 원화 결제를 선택하면 불필요한 수수료를 지불하게 된다.

3. 해외 ATM에서 원화 출금 거부
해외 ATM에서 현금을 인출할 때도 원화(KRW) 출금 옵션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반드시 현지 통화로 선택해야 추가 수수료를 피할 수 있다.

4. 카드사 고객센터에 문의
사용 중인 카드가 DCC 차단이 가능한지 확인하려면 카드사 고객센터(예: KB국민카드 1588-1688)에 문의하여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