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금거래(集金去來, Collection Transaction)는 여러 명의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하나의 계좌로 입금하거나 관리하는 금융 거래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금융기관, 기업, 공공기관 등이 대량의 금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며, 주로 보험료, 공과금, 대출 상환금, 투자금 등을 수납할 때 활용됩니다.

1. 집금거래의 주요 특징
✅ 다수의 거래를 한 계좌에서 처리 → 개별적으로 입금받지 않고, 집금 계좌를 통해 자금을 일괄 수납
✅ 자동이체 및 정기 수납 가능 → 정기적으로 수납이 필요한 거래에 적합
✅ 효율적인 자금 관리 → 기업이나 기관이 다수의 고객을 관리하는 데 용이
✅ 금융당국의 규제 대상 → 자금세탁, 불법 금융거래 등에 악용될 위험이 있어 규제가 적용됨
2. 집금거래의 활용 사례
- 보험사 → 고객이 납부한 보험료를 하나의 계좌로 모아 관리
- 증권사 및 투자사 →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펀드나 금융상품 운영
- 대출 및 상환 관리 → 금융기관이 여러 차입자의 원리금을 집금하여 관리
- 공과금 및 정기 결제 → 전기료, 수도료, 인터넷 요금 등의 정기 청구금 집금
- 플랫폼 사업자 → 배달앱, 쇼핑몰 등이 판매자의 수익금을 모아 정산
3. 집금거래의 법적·규제적 측면
📌 자금세탁방지법(AML) 적용 → 불법적인 자금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금융기관이 모니터링
📌 전자금융거래법 준수 →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 등의 사업자가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함
📌 금융기관과의 협약 필요 → 은행 및 지급결제업체와 계약하여 집금 시스템 운영
4. 집금거래의 장점과 리스크
✔ 장점
- 대량의 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
- 자동이체 등으로 운영 효율성 증가
- 금융거래의 투명성 유지
⚠ 리스크
- 자금세탁, 불법거래 악용 가능성
- 고객 자금의 부적절한 운용 시 법적 문제 발생
- 금융사고 발생 시 피해 확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