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사극말투 정리

사극말투 정리

designpool | 2:32 오후 | 2025년 02월 18일

1. 성은이 망극하옵니다

  • 직역/의미: “임금님의 은혜가 끝이 없습니다” / “황송하고 감사함을 감히 헤아릴 수 없습니다.”
  • 설명: 왕(전하)의 크나큰 은혜에 대해 무한한 감사와 감동을 표현할 때 쓰는 매우 격식 있는 말.

2. 황송하옵니다

  • 직역/의미: “황송하옵니다”는 “황공(황송)하기 그지없습니다” 정도로, ‘지나치게 영광스럽고 몸둘 바를 모르겠다’라는 뜻.
  • 설명: 상대방이 베푸는 호의나 칭찬이 너무 커서 몸 둘 바를 모르겠다며 겸손하게 감사와 송구함을 함께 드러내는 표현.

3. 황공하옵니다

  • 직역/의미: “황공”은 ‘극진히 공경함’ 또는 ‘몸둘 바를 모를 만큼 송구스럽고 감사하다’는 뜻.
  • 설명: “황공하옵니다” 역시 ‘지나칠 정도로 감사하고 죄송스럽다’라는 뉘앙스로, 왕이나 지체 높은 분 앞에서 자신을 낮추어 표현할 때 사용.

4. 송구하옵니다

  • 직역/의미: “송구스럽습니다”의 극존칭 형태.
  • 설명: 잘못이나 폐를 끼쳐서 미안함을 표현할 때 사용. 현대어의 “죄송합니다”와 유사하나, 좀 더 격식 있고 고풍스러운 느낌.

5. 죽을 죄를 지었사옵니다

  • 직역/의미: “(제가) 죽어 마땅한 죄를 지었습니다.”
  • 설명: 임금이나 윗사람 앞에서 자신의 큰 잘못이나 실수를 극도로 낮추어 고백하고 사죄할 때 쓰는 표현. 사극에서 처벌을 감수하고 잘못을 고백할 때 자주 등장.

6. 천은이 망극하옵니다

  • 직역/의미: “하늘처럼 높고 깊은 (임금님의) 은혜가 끝이 없습니다.”
  • 설명: “성은이 망극하옵니다”와 유사하게, 임금이나 절대적인 은혜에 대한 한없는 감사와 감동을 표할 때 사용.

7. 만수무강하시옵소서

  • 직역/의미: “오래오래 무병장수하시길 바랍니다.”
  • 설명: 왕이나 윗분의 안녕과 장수를 기원할 때 전하는 축원의 말. ‘전하 만수무강하시옵소서’ 등으로 사용.

8. 폐하, 용안이 안녕하시옵니까?

  • 직역/의미: “폐하, (왕이신) 전하의 (얼굴 혹은) 건강이 평안하신지요?”
  • 설명: 왕에게 안부를 여쭙거나 걱정할 때 쓰는 고풍스러운 방식. 여기서 ‘용안(龍顔)’은 임금의 얼굴을 가리키는 존칭.

9. 소신(小臣) / 소자(小子) / 소녀(小女) … ~ 하옵니다

  • 직역/의미: “소신”은 ‘작은 신하’, “소자”는 ‘자신을 낮추는 표현(남자)’, “소녀”는 ‘자신을 낮추어 이르는 표현(여자)’.
  • 설명: 자기 자신을 극도로 낮춰 부를 때 사용하는 겸칭. 뒤에는 “소신 ~하옵니다” 처럼 문장을 이어서 존대한다.

10. 전하, 송구하오나 사양하겠나이다

  • 직역/의미: “전하, 매우 송구하지만 이 제안을/명령을 거절하겠습니다.”
  • 설명: 왕이나 높은 분의 제안이나 명령을 정중히 거절할 때 쓰는 표현. 극도로 공손하면서도 의사를 분명히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