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파(Public Wave)는 방송 전파를 이용해 송출되는 방송을 의미하며, 주로 **지상파 방송(Terrestrial Broadcasting)**을 가리킨다. 한국에서는 KBS, MBC, SBS, EBS 등이 이에 해당하며, 별도의 유선 장비 없이 안테나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Terrestrial Broadcasting) 개념
지상파 방송은 지상의 송신탑에서 직접 전파를 송출하여 수신하는 방송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주파수를 활용한 무선 방송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도시 및 시골 지역을 포함하여 넓은 범위에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무료 방송: 케이블이나 인터넷 없이 안테나만으로 시청 가능.
- 국가 관리: 정부 기관(한국의 경우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주파수를 관리하며, 허가된 방송사만 운영 가능.
- 재난 방송 기능: 긴급 상황 시 신속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여 공공성이 높음.
- 기반 시설: 송신탑과 기지국을 통해 전파를 직접 송출.
하지만 ‘공중파’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 Sky Wave(스카이 웨이브, 하늘파)
- 전리층을 통해 반사되어 먼 거리까지 도달하는 전파.
- 단파(SW, Shortwave) 방송이나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사용됨.
- 지구 곡률을 넘어 장거리 통신이 가능함.
- Public Wave(퍼블릭 웨이브, 공중파 방송)
-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일반적인 지상파 방송.
- 누구나 쉽게 수신 가능하며, 방송국이 직접 전파를 송출.
공중파(Public Wave)의 반대 개념으로는 폐쇄적인 방식으로 전송되는 방송이 있다. 이에 해당하는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공중파의 반대 개념
- 유선 방송 (Cable Broadcasting)
-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
- 예: 케이블 TV (CJ ENM, LG헬로비전 등).
- 위성 방송 (Satellite Broadcasting)
- 위성을 이용해 특정 수신 장비(위성 안테나)로 신호를 전달.
- 예: SkyLife.
- IPTV (Internet Protocol TV)
- 인터넷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
- 예: KT 올레TV, SK Btv, LG U+tv.
- OTT (Over-The-Top) 서비스
- 인터넷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방송 콘텐츠.
- 예: 넷플릭스, 유튜브, 티빙, 웨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