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스톱 규칙 (3인)
고스톱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화투 게임으로, 보통 3명이서 플레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진행 방법
- 선 정하기: 패를 섞고 한 장을 뽑아 선을 정함.
- 패 배분: 각자 7장씩 받고 바닥에 6장을 깔며, 나머지는 더미로 둠.
- 턴 진행:
- 자신의 패 중 1장을 바닥에 내려놓고, 더미에서 1장을 뒤집어 바닥에 놓음.
- 바닥에 같은 월의 카드가 있다면 가져감.
- 점수 계산:
- 3점 이상이 되면 “났다”라고 선언하고, “고” 또는 “스톱”을 선택.
- “고”를 하면 게임 지속, 추가 점수 획득 시 배수 증가.
- “스톱”을 하면 점수를 계산하고 게임 종료.
- 배수 적용:
- “고”를 할 때마다 배수가 증가(3고부터 2배, 4고 4배 등).
- 피박, 광박, 멍박 등 추가 배율 존재.
2) 주요 규칙
- 뻑: 같은 월의 패가 바닥에 3장 모이면 가져가지 못하고 쌓임.
- 따닥: 같은 월의 패가 2장 깔린 상태에서 같은 패가 연속으로 나오면 4장 가져감.
- 쪽: 낸 패와 뒷패가 일치하면 즉시 가져감.
- 쓸: 바닥의 패를 모두 가져가면 쓸이 됨.
- 흔들기 & 폭탄: 같은 월의 3장을 갖고 있으면 패를 흔들어 배수 증가 가능.
- 총통: 같은 월의 4장을 모두 손에 들고 있으면 즉시 승리 가능.
3) 족보 (점수 계산)
- 광: 3광(2점), 4광(4점), 5광(15점)
- 고도리: 2·4·8월의 새 그림을 모으면 5점.
- 띠: 5장 이상 모으면 1점 추가.
- 단: 홍단(1·2·3월), 청단(6·9·10월), 초단(4·5·7월) 각 3점.
- 피: 10장 이상 1점, 이후 1장당 1점씩 추가.
4) 배수 적용 (박)
- 고 배수: 3고부터 2배, 4고 4배, 5고 8배 등.
- 역고: 먼저 “고”를 한 사람보다 먼저 점수를 내면 2배 적용.
- 광박, 피박, 멍박: 상대가 해당 패를 하나도 못 모으면 2배.
- 나가리: 아무도 점수를 못 내면 다음 판 점수 2배.
2. 맞고 규칙
맞고는 고스톱의 2인용 버전으로, 기본적인 규칙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1) 진행 방법
- 패 배분: 각자 10장씩 받고 바닥에 8장을 깔며, 나머지는 더미로 둠.
- 턴 진행:
- 자신의 패 중 1장을 바닥에 내려놓고, 더미에서 1장을 뒤집어 바닥에 놓음.
- 바닥에 같은 월의 패가 있다면 가져감.
- 점수 계산:
- 7점 이상이 되어야 “난다”를 선언할 수 있음.
- “고” 또는 “스톱” 선택 가능.
- 배수 적용:
- 고를 하면 추가 배율(3고부터 2배, 4고 4배 등).
- 피박, 광박, 멍박 등의 추가 배율 존재.
2) 맞고의 차이점
- 점수 조건: 3인이 하는 고스톱은 3점 이상, 맞고는 7점 이상 되어야 함.
- 첫뻑, 연뻑, 삼연뻑: 돈을 받을 때 7점 기준으로 계산.
- 고박: 이긴 사람의 점수에 2배를 곱하여 상대가 지불해야 함.
- 보너스 피: 상대방에게서 피 1장을 가져올 수 있음.
3) 맞고에서 배수 적용
- 고 배수: 7점부터 시작, 3고 이상부터 2배씩 증가.
- 역고: 상대보다 먼저 점수를 내고 “고”를 하면 2배.
- 총통: 같은 월의 패 4장을 모두 들고 있으면 즉시 승리 가능.
- 광박, 피박, 멍박: 상대가 해당 패를 하나도 못 모으면 2배 적용.
정리
구분 | 고스톱 (3인 이상) | 맞고 (2인) |
---|---|---|
패 배분 | 7장씩 (바닥 6장) | 10장씩 (바닥 8장) |
나는 점수 | 3점 이상 | 7점 이상 |
고/스톱 배수 | 3고부터 배수 증가 | 7점부터 시작, 3고부터 2배 |
뻑/따닥/쪽/쓸 | 적용 | 적용 |
총통 | 4장 모으면 승리 가능 | 동일 |
고박 | 독박 (한 명만 부담) | 2배 지불 |
피박 기준 | 피 9장 이하 | 피 7장 이하 |
고스톱과 맞고는 기본적인 룰은 같지만, 점수 계산과 전략이 조금 다릅니다. 맞고는 2인 게임이라 실력의 비중이 더 크고, 고스톱은 배율과 변수가 많아 스릴이 있는 게임입니다.